NYPI

조손가족 청소년의 대인관계에서 경험하는 외로움에 관한 질적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loneliness amongst adolescents in grandparent-grandchild families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사회를 살고 있는 조손가족 청소년이 대인관계에서 체험하는 외로움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일상에서 외로움을 경험한 적이 있는 조손가족 청소년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외로움 경험에 대한 경험적 의미를 도출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를 통하여 탐구하였다. 참여자는 총 8명(중학교 3명, 고등학교 4명, 학업중단 1명)으로 구성되었으며, 2~3회의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참여자별 면담은 사전에 법정대리인의 동의를 얻어 진행되었으며 연구자의 개입을 최소화하면서 최대한 참여자의 표현으로 기술하려고 노력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 결과, 연구 참여자들의 외로움 경험의 주제는 4개의 범주, 9개의 주제 군, 24개의 주제가 산출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조손가족 청소년들은 혼자 지내야 하는 시간이 많고 스스로 해결해야 하는 일들이 많아 정서적 외로움을 자주 경험하였다. 둘째, 조손가족 청소년들의 부족한 가족 자원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이나 친구관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으며 셋째, 이러한 또래관계에서의 외로움 경험으로 인해 참여자들은 위축되고 자신감이 적어지기도 하였다. 넷째, 참여자들은 외로움을 경험할 때 슬픔, 상처, 홀로 버려진 듯한 막막함, 긴장, 우울, 불신 등 다양한 정서적 어려움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참여자들은 외로웠던 관계에서 벗어나 친밀한 관계를 맺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면서 힘들었던 외로움 경험에 대한 의미를 긍정적으로 재구성하고 있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상담에서의 함의 점 및 한계점 등을 논의하였다.
Author(s)
이옥주유금란
Issued Date
2019-05-31
Type
Article
Keyword
외로움조손가족청소년친밀감대인관계질적연구
DOI
10.14816/sky.2019.30.2.303
URI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2240
Publisher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ISSN
1225-6336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한국청소년연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원문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