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탈청소년의 학교중도탈락 영향의 경로구조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Path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School Drop-out Intentions of North Korean Defector Youth
-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 청소년의 학교중도탈락의 영향요인을 밝혀보고, 그 결과를 근거로 사회복지 실천의 개입방안과 정책제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부모 양육의 질, 또래 관계, 자존감, 학교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주요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각 요인의 직, 간접적 영향력의 정도와 영향의 경로를 파악하였다. 중도탈락의도에 청소년의 자존감과 학교 문화적응스트레스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 양육의 질과 또래관계 등의 관계요인들은 직접적 영향보다는 이들 개인내적요인들에 매개되어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 본 연구가 갖는 이론적 기여, 실천ㆍ정책적 함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Author(s)
- 김연희
- Issued Date
- 2010-02-28
- Type
- Article
- Keyword
- 북한이탈청소년; 학교중도탈락; 학교중도탈락영향요인
- URI
-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1925
- Publisher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ISSN
- 1225-6336
-
Appears in Collections:
- 정기간행물 > 한국청소년연구
- 공개 및 라이선스
-
- 원문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