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PI

남북한 청소년 교류·협력과 NGO - 사회통합 접근 가능성 모색 -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role of NGO in Youth Interchange -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bstract
이 연구는 현재까지 남북한 통일문제에 대한 접근 방법이 정치·제도적 중심의 체제통합에 편중되었던 논의를 탈피하여 NGO중심의 청소년분야 교류·협력을 통한 남북한 사회통합 접근 가능성을 구명하였다. 현재 NGO중심의 청소년 교류·협력은 초보적인 단계로 제반 여건이 미성숙한 상태에 놓여있으나, 반대로 시작하는 현재의 노력이 결과적 책임을 답보할 수 있을 것이다. 남북한 사회통합은 통일과정 및 이후의 단계에서도 지속적으로 추진될 과제로, NGO틀 통한 청소년분야의 교류·협력은 남북한간의 동질성 증대와 통일과정 및 이후의 사회통합을 위한 기초작업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사회문화분야의 교류·협력과정에서 청소년분야의 비중이 확대되어야 하며, 시민성을 대표하는 NGO의 역할 증가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NGO를 통한 청소년분야의 교류·협력 확대는 현재 남북관계를 고려하더라도 현실적인 선택이며, 민간의 자율성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남북한 사회 통합과정의 중요한 밑거름으로 작용할 것이다.
Author(s)
길은배
Issued Date
2001-06-30
Type
Article
URI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1642
Publisher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ISSN
1225-6336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한국청소년연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원문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