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PI

'학교 주5일제'의 청소년육성론적 함의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Significance of Youth Work contained in the 'Five School-Day System'
Abstract
이 연구는 학교 주5일제가 갖고 있는 청소년육성의 의미가 무엇이며, 청소년정책에서는 어떤 접근 방식을 요구하는가를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학교 주5일제는 청소년에게 다양한 체험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사회적 인프라론적 접근의 의미, 청소년기에 대한 평생학습차원의 접근 필요성 및 자유시간 확대 차원에서 청소년에게 여유를 돌려주는 여가론적 의미와 기대를 가지고 있다. 한편 학교 주5일제의 도입은 학교 교육과정 편제상에서 특별활동 등 비교과 과정의 감축 내지는 폐지로 이어질 공산이 크며, 이는 학교교육에 기반을 두고 있는 청소년육성에 커다란 체질 개선을 요구하는 것이다. 그리고 학교 주5일제는 청소년의 생활에서 내부 놀이형의 활동을 증대시킬 가능성이 많다. 그러므로 가정, 학교, 지역사회는 사회인프라 구축에 앞서 청소년을 다양한 체험기회의 장으로 이끌어 내는 공동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특히 이러한 과제 달성을 위해 청소년육성 분야에서는 아동에서 자립적 성인으로 이행하는 이행과정으로서 청소년기에 대한 포괄적 이해,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여가와 일과 공부를 융합하여 체험으로 학습하는 발달과업의 통합적 인식 등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은 청소년기와 발달 과업에 대한 수평적 · 수직적 인식 확대를 통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학교 주5일제의 청소년정책론적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Author(s)
이광호
Issued Date
2001-12-31
Type
Article
URI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1632
Publisher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ISSN
1225-6336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한국청소년연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원문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