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PI

일본 대중문화에 대한 청소년의 수용과 저항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Korean Teenagers' Acceptance and Resistance to the Japanese Culture
Abstract
1998년의 일본대중문화 개방과 관련하여 일본 대중문화 및 그것의 개방에 대해 청소년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고등학생 800명을 대상으로 일본대중문화 개방에 대한 의견, 일본 대중문화 접촉 등의 경험, 일본 대중문화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의견 등의 3가지 영역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일본대중문화 개방에 대해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입장이 더 많았으며, 일본대중문화의 영향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 모두를 지적하고 있었다. 연구결과에 의한, 일본대중문화 개방에 대해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입장이 더 많았으며, 일본대중문화의 영향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 모두를 지적하고 있었다. 연구결과에 의한, 일본대중문화 개방에서의 청소년 일본문화 수용과 관련란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일본 대중문화가 전면적으로 개방된 것이 아니라 단계적으로 개방하기로 한 상황이다. 따라서 매 단계마다 개방과정에서 청소년들이 일본 대중문화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문제와 유용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일본대중문화 개방에 따라 우리 청소년들이 고급한 외래 문화의 사용과 향유를 위하여 문화수용 및 향유를 위한 프로그램의 제작과 교육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일본 대중문화에 대한 저항적인 면이 감정적 수준애서 나온 것이라면, 고급 문화 향유에 대한 안내는 기존의 감정적 저항을 극복하면서도 이성적이며 합리적인 수준에서 일본 대중문화, 더 나아가 모든 대중문화를 선별할 수 있는 능력을 갖도록 도와주는 것이 될 것이다.
Author(s)
구정화
Issued Date
1999-06-01
Type
Article
URI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1598
Publisher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ISSN
1225-6336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한국청소년연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원문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