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학생의 자기통제력과 비행
- Abstract
- 이 연구 논문에서는 갇프레드슨과 허쉬〔Gottfredson and Hirschi, 1990〕의 자기통제 이론이 갖는 일반 명제를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이론의 핵심 개념인 자기통제력을 초등학교 학생들의 자기기입식 자료와 그 담임 교사의 보고 자료를 사용하여 조작화하고 측정하였다. 범죄의 일반 이론으로 제시된 자기통제이론의 주장을 검증하기 위해서 다음의 다섯 가지를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첫째, 일반 이론으로서 자기통제이론에 대한 이제까지의 이론 검증이 서양 사회에서 수집한 자료에 제한되어 왔기 때문에 문화와 가치가 다른 동양 사회, 더 구체적으로 한국 사회에 적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검증하였다. 둘째, 자기통제이론이 주장하는 자기통제력의 조기발달 주장을 초등학교 학생 자료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셋째, 자기통제력의 원인으로 부모의 범죄성, 부모의 자녀 감독, 결손가정 여부, 어머니의 취업과 성별을 포함하여 검증하였다. 특히 초등학교 학생들은 더 나이든 청소년에 비해서 남자와 여자 사이에 비행의 기회 측면에서 성차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따라서 성별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에 적절하다. 마지막으로 브라운필드와 소렌슨〔Brownfield and Sorenson, 1993〕의 주장을 검증하기 위해서 자기통제력 이외에 신념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서 분산분석과 중분류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통제이론이 주장하는 바가 전체적으로 경험적인 지지를 받았다. 이 연구의 경험적 발견의 토대 위에서 이론적인 함의와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제안도 하였다.
- Author(s)
- 민수홍
- Issued Date
- 1998-06-01
- Type
- Article
- URI
-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1580
- Publisher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ISSN
- 1225-6336
-
Appears in Collections:
- 정기간행물 > 한국청소년연구
- 공개 및 라이선스
-
- 원문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