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방안 연구 Ⅲ : 질적 패널조사를 중심으로

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방안 연구 Ⅲ : 질적 패널조사를 중심으로

공공누리 마크

NYPI 이(가) 창작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3
  2. 연구추진체계 10
  3. 연구내용 13
  4. 연구방법 15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21
  1. 학교 밖 청소년 정의 및 현황 23
  2. 학교 밖 청소년 연구 개관(NYPI 연구) 33
  3. 지역사회의 학교 밖 청소년 지원 필요성 39


Ⅲ.국내·외 정책현황 및 분석: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정책 47
  1.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중앙지원 정책 49
  2.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대도시 지자체 정책 사례 63
  3. 학교 밖 청소년 대상 외국 지원 사례(대도시 중심) 76
  4. 요약 및 시사점 91


Ⅳ. 학교 밖 청소년 패널 질적 연구: 기존 패널 95
  1. 기존 패널 현황 및 자료 수집 97
  2. 대도시 지역 기존 패널 면접결과 분석 108
  3. 기존 패널 질적종단자료(2018~2020) 심층 분석 177
  4. 요약 및 시사점 207


Ⅴ. 학교 밖 청소년 신규 패널 구축 및 질적 연구 217
  1. 학교 밖 청소년 신규 패널 구축 219
  2. 1차 조사 내용 및 자료수집 224
  3. 질적연구 분석 결과 229
  4. 요약 및 시사점 342


Ⅵ. 학교 밖 청소년 대상 지역사회(대도시) 지원체계 조사 349
  1. 조사개요 351
  2. 3개 대도시 환경 및 학교 밖 청소년과 지원 현황 356
  3. 3개 대도시 지역 학교 밖 청소년 현장전문가 면접조사 407
  4. 대도시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종사자 대상 설문조사 445
  5. 요약 및 논의 467


Ⅶ. 학교 밖 청소년 지원을 위한 정책제언 473
  1. 주요 연구결과 요약 475
  2. 학교 밖 청소년 지원방안: 지역사회 지원을 중심으로 483


참고문헌 513
부  록 533
ABSTRACT 541


더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방안 연구 Ⅲ: 질적패널조사를 중심으로」 의 3차년도 연구로, 청소년기 중·후반과 성인기 이행과정에 있는 10대 중·후반 ~ 20대 중반 학교 밖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조사를 수행하여 이들의 학업중단 사유, 학교를 떠난 이후의 경험, 진로준비 및 지역사회에서의 지원 경험 등에 대해 질적종단자료를 수집하고 그 결과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조사결과에 기초하여 지역사회에서의 학교 밖 청소년 지원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2020년에는 대도시지역의 학교 밖 청소년 지원방안에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첫째, 학교 밖 청소년 현황 및 규모 검토, 지역사회와 관련된 선행연구들과 3개 대도시의 학교 밖 청소년 지원체계와 관련된 행정통계와 관련 문헌들을 고찰하였다. 둘째, 전문가 자문 및 워크숍, 정책연구실무협의회, 그리고 전년도 학교 밖 청소년 연구결과 발표를 위한 포럼을 개최하였다. 셋째, 이제 20대 성인이 된 학교 밖 청소년 기존 패널 22명을 대상으로 3차 심층면접을 수행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넷째, 10대 중·후반의 신규 학교 밖 청소년 패널 33명을 구축하고 1차 심층면접을 수행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COVID-19로 인해 기존 패널 및 신규 패널 대부분 온라인 화상면접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기존 패널을 대상으로는 횡단(2020년 수집자료 중심) 및 종단자료(2018~2020년 수집 자료) 분석을 모두 수행하였고, 신규 패널의 경우 1차년도 면접조사 결과 분석과 더불어 이 중 5명에 대한 생활시간을 조사하여 결과를 함께 분석하였다. 다섯째, 광주, 부산, 서울과 같은 대도시 지역의 학교 밖 청소년 지원 현황과 함께 이들 지역의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현장실무자 3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대도시 지역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56개소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웹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① 청소년의 요구와 환경변화에 부합하는 지원 마련, ②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꿈드림)의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진출을 위한 교두보 역할 강화, ③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대대적인 사회적 인식 개선 및 홍보, ④ 학교 밖 청소년 지원의 전문성 강화와 인프라 개선, ⑤ 지역사회 및 환경을 고려한 지원체계 구축, ⑥ 대도시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의 차별화 전략 구축 등의 정책방향을 도출하였다. 또한 구체적인 정책과제로 비대면 사업 개발 및 대면 서비스와의 유기적 연계, 학교 밖 청소년 지원 대상 확대, 청소년 요구 맞춤형 다양한 프로그램/공간 지원, 경제적 지원 확대 등의 정책과제,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지역사회 수준에서의 지원체계와 관련된 4개의 정책과제, 대도시 지역 및 중앙정부 차원에서의 학교 밖 청소년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제들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