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7
|
33권 4호
|
부모의 자율성 지지 단축형 척도의 타당화: Rasch 모형 적용
|
문주연, 이은주
|
PDF 보기
|
1056
|
33권 4호
|
청소년 지도자의 청소년 성소수자 지원사업 경험
|
공은선, 최나연
|
PDF 보기
|
1055
|
33권 4호
|
온오프라인 인권존중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성별에 의해 조절된 인권의식의 매개효과
|
전예빈, 김순규
|
PDF 보기
|
1054
|
33권 4호
|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의 직렬다중매개효과
|
최려나, 노충래
|
PDF 보기
|
1053
|
33권 4호
|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에 의해 조절된 다면적 자기개념에 대한 부정적 인지의 매개효과
|
김태련, 강민주
|
PDF 보기
|
1052
|
33권 4호
|
위기청소년들의 건강행동과 신체적 건강문제: 성차를 중심으로
|
백혜정
|
PDF 보기
|
1051
|
33권 3호
|
청소년이 경험한 부정적 생애경험 유형과 폭력비행 간 관계: 잠재계층분석을 중심으로
|
김선영, 한윤선
|
PDF 보기
|
1050
|
33권 3호
|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족과 친구와의 소통이 청소년의 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친구관계와 우울감의 매개효과
|
이선영
|
PDF 보기
|
1049
|
33권 3호
|
청소년활동의 사회적지지가 참여빈도, 참여태도 및 성취기대를 매개로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초·중·고 학교급별 다집단 분석
|
손수경
|
PDF 보기
|
1048
|
33권 3호
|
사회적 연결망의 다양성이 청소년의 사회정서역량에 미치는 영향
|
장은지, 김민석
|
PDF 보기
|
1047
|
33권 3호
|
대인관계 외상을 경험한 20대의 용서와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
이수진, 양난미
|
PDF 보기
|
1046
|
33권 3호
|
아동기 부모의 디지털미디어 사용 중재 유형에 따른 청소년기 디지털 리터러시
|
조은호, 최지은, 이민지, 허윤성, 김현경
|
PDF 보기
|
1045
|
33권 2호
|
학교급 전환기 학교적응의 유형화 및 종단적 변화 탐색
|
정송, 우연경, 송주연, 노언경
|
PDF 보기
|
1044
|
33권 2호
|
성인진입기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관계 유형 연구
|
최은경, 임정하
|
PDF 보기
|
1043
|
33권 2호
|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한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불안 변화유형과 생태학적 영향요인 검증
|
강민지, 김지민, 이지예, 양은주
|
PDF 보기
|